복식부기를 이론으로 이해했다면, 이제는 실전 단계입니다. 실제로 어떤 거래를 어떻게 장부에 기록하는지 알아보고, 가장 많이 사용되는 회계 계정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.
🧾 분개란 무엇인가요?
‘분개’는 회계에서 일어난 거래를 회계 항목(계정)별로 나누어 차변과 대변으로 기록하는 작업을 말합니다. 복식부기는 모든 거래가 최소 두 개 이상의 항목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드렸는데,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과정이 바로 분개입니다.
✏️ 대표적인 분개 예시
날짜 | 거래 내용 | 차변 계정 | 대변 계정 | 금액 |
---|---|---|---|---|
2025-03-01 | 디자인 외주 수입 입금 | 현금 | 수익(서비스수익) | 1,500,000 |
2025-03-03 | 노트북 카드 구매 | 비품 | 미지급금 | 1,200,000 |
2025-03-05 | 사무실 임대료 계좌 이체 | 임차료 | 현금 | 500,000 |
2025-03-08 | 홍보용 인스타그램 광고비 카드결제 | 광고선전비 | 미지급금 | 200,000 |
2025-03-10 | 카드값 결제 (이전 광고비 결제분) | 미지급금 | 현금 | 200,000 |
이처럼 모든 거래는 ‘무엇을 사거나 벌었는가’와 ‘어떤 방식으로 지불했는가’를 기준으로 나누어 기록합니다.
📚 자주 사용하는 회계 계정
다양한 회계 계정 중 개인사업자, 프리랜서가 주로 사용하는 계정을 소개합니다. 상황에 따라 정확한 계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계정명 | 분류 | 설명 |
---|---|---|
현금 | 자산 | 현금으로 보유 중인 금액 |
보통예금 | 자산 | 사업용 계좌의 예금 |
매출 | 수익 |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수입 |
서비스수익 | 수익 | 프리랜서 등 용역 제공 수익 |
급여 | 비용 | 직원에게 지급한 급여 |
복리후생비 | 비용 | 식비, 야근 식대, 회식 등 복리후생 목적 비용 |
광고선전비 | 비용 | 온라인 광고, 명함, 인쇄물 등 홍보 비용 |
비품 | 자산 | 업무용 노트북, 프린터 등 구입한 장비 |
미지급금 | 부채 | 카드로 결제한 비용 등 아직 지급되지 않은 금액 |
잡이익 / 잡손실 | 수익 / 비용 | 일상적이지 않은 수입/지출 (예: 환불, 할인 차이) |
🛠 분개 연습 Tip
-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생각 – 돈이 들어왔는가? 나갔는가?
- 거래 목적 파악 – 수익인가? 자산인가? 비용인가?
- 거래 방법 구분 – 현금/계좌/카드/외상 등
- 모르는 경우에는 회계 앱 또는 세무사 상담 추천
📌 마무리 요약
- 복식부기의 핵심은 ‘분개’ – 거래를 양쪽(차변/대변)으로 기록
- 거래 유형에 따라 적절한 회계 계정을 사용해야 함
- 초보자라도 반복 학습을 통해 분개에 익숙해질 수 있음
- 회계 앱, 엑셀 템플릿, 세무사 활용도 고려 가능
다음 글에서는 복식부기 장부 양식과 작성 순서를 다루어 실제로 어떻게 기록하고 정리하는지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