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인사업자 또는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면,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매출과 지출을 기록하는 ‘장부 작성’은 필수입니다.
특히 수입금액이 일정 기준 이하라면 복잡한 회계지식 없이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‘간편장부’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간편장부의 구조와 작성법, 실전 예시, 주의할 점까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.
✅ 간편장부 양식의 기본 구성
국세청 또는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간편장부는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수입금액 (매출)
- 필요경비 (지출)
- 순이익 (수입 - 필요경비)
기본적으로 날짜별로 매출과 지출을 기록하며, 각 항목에 대한 증빙자료(세금계산서, 영수증 등)를 잘 보관해야 합니다.
🧾 간편장부 작성 예시
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, 아래와 같이 기록할 수 있습니다.
날짜 | 거래내용 | 수입 | 지출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2025-03-01 | 유튜브 수익 | 2,000,000 | - | 광고수익 입금 |
2025-03-03 | 영상편집 외주비 | - | 400,000 | 프리랜서 편집자 비용 |
2025-03-10 | 마이크 구매 | - | 300,000 | 장비 구입 |
2025-03-15 | 블로그 원고료 수입 | 1,200,000 | - | 콘텐츠 납품 |
이런 식으로 매월 수입과 비용을 기록해두면, 종합소득세 신고 시 매우 수월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🛠 간편장부 작성 도구
- 엑셀 파일 – 직접 수입·지출 항목을 만들어 관리 가능
- 국세청 홈택스의 ‘모의신고’ – 장부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소득계산
- 모바일 앱 또는 클라우드 회계 서비스 – 간단한 기록부터 신고까지 연결 가능
직접 작성이 어려운 경우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도 좋습니다.
⚠️ 주의사항 및 팁
- 수입은 입금 기준으로 작성
- 경비는 사업 관련 지출만 기록 (사적인 소비는 제외)
- 증빙자료는 최소 5년간 보관 권장
- 현금 사용 시에도 꼭 간이영수증 또는 카드내역 확보
수입과 지출을 정확히 기록하면 추후 세무조사에도 대비할 수 있고, 필요경비 인정도 확실히 받을 수 있습니다.
📌 마무리 요약
- 간편장부는 소규모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에게 매우 유용한 장부 방식
- 복잡한 회계지식 없이도 수입과 지출만 꾸준히 정리하면 됨
- 홈택스, 엑셀, 회계 앱 등을 통해 손쉽게 작성 가능
- 정확한 기록과 증빙자료 보관은 세금 절감의 기본
다음 글에서는 복식부기 방식으로 장부를 관리하는 경우 어떤 점들이 다른지, 어떤 점에서 더 유리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.